[현장연결] 윤 대통령, 반도체 민생토론회…일자리 창출 논의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를 주제로 올해 세 번째 민생토론회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활성화 방안을 국민과 논의하는 자리인데요.<br /><br />직접 들어보시죠.<br /><br />[윤석열 / 대통령]<br /><br />제가 취임한 이후 열흘 만에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하셨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용산 제 사무실이 아니라 평택의 삼성반도체 캠퍼스에서 처음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손님을 모실 때는 원래 제일 좋은 것부터 보여드리지 않습니까? 정상과 대화를 하면 한국에 대해 가장 많이 얘기하는 것이 BTS와 반도체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우리에게 정말 전 세계에 자랑하고 싶은 넘버원이 바로 이 반도체이기 때문에 삼성 캠퍼스를 바이든 대통령에게 대한민국의 첫 번째 방문지로 보여드리고 저도 거기서 처음 만난 것입니다.<br /><br />가보니까 노광장비 네덜란드제만 있는 것이 아니고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라고 미국산의 이런 장비들도 많이 있더군요.<br /><br />하여튼 저는 취임 이후에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서 나름 열심히 노력했다고 자부합니다.<br /><br />먼저 대통령에 취임한 직후 반도체 관련 학과의 정원부터 늘렸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반도체 전공 학생들이 많이 오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부 출범부터 지금까지 저와 함께하고 있는 이종호 과기부 장관도 여러분의 반도체 전문가 선배입니다.<br /><br />제가 선거 때부터 우리 이종호 장관으로부터 반도체에 관해서 공부를 좀 배웠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취임한 이후에는 이종호 장관이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을 상대로 반도체 강의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왜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강의를 했느냐.<br /><br />이건 과기부 장관이나 산업부 장관뿐만이 아니라 모든 국무위원이 우리나라의 주력 전략 산업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된다는 판단하에 우리 과기부 장관으로 하여금 국무회의에서 강의를 한번 하게 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이제 주변 어디를 봐도 반도체 없이 돌아가는 산업이 없습니다.<br /><br />AI, 첨단 바이오, 퀀텀 같은 3대 소위 미래 전략 기술이라고 하는 그런 곳에도 핵심 자산은 반도체입니다.<br /><br />퀀텀조차도 바로 이 반도체 칩을 만드는 그런 기술로서 소형화하고 이 퀀텀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반도체는 최첨단 무기 체계의 기반이 되는 안보 자산입니다.<br /><br />1970년대, 80년대 미, 소가 이런 전략 무기 체계를 가지고 엄청나게 경쟁한 것을 여러분도 다 들어서 알고 계시거나 그 시절에 학교 다니신 분도 계실 텐데 결국 미, 소의 전략 무기 체계 경쟁은 바로 반도체 경쟁이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우리의 이제 주력 수출 산업 하면 반도체, 자동차, 조선, 석유화학 뭐 이런 것들 아니겠어요? 그러나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역시도 반도체에 의해서 좌우되는 그런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는 그 어떤 산업보다도 우리의 민생을 풍요롭게 하고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합니다.<br /><br />우리가 반도체 그러면 아, 삼성전자, SK하이닉스 뭐 거기만 잘 되는 거 아니냐 이런 생각을 하기가 쉽습니다만, 여러분들은 안 그러시겠지만.<br /><br />반도체 공장을 하나 세우면 설계 기업, 디자인 기업, 후공정 또 R&D 시설까지 모두가 들어서게 되고 거대한 에코 시스템이 만들어집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러한 시설들을 만드는 데 먼저 건설 인프라 수요도 엄청나지 않겠습니까? 그리고 반도체 생산에는 엄청난 양의 공업용수와 전기 공급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제가 이제 해외 순방을 나가서 외국 정상들을 만나보면 반도체 이런 파운드리를 갖고 있지 않은 그런 국가의 정상들은 저보고 그래요.<br /><br />한국의 반도체 기업들한테 자기네 나라에 와서 이런 파운드리를 하나 만들어 달라고 얘기를 합니다.<br /><br />그러면 제가 라인 하나 까는 데 공업용수가 어느 정도, 전기 공급이 어느 정도인지 얘기를 하면서 이 나라에 원전이 몇 기나 있습니까? 라고 제가 물어보면 왜 그러냐 그래요.<br /><br />그래서 라인 하나에 원전 1기 정도는 있어야 되는데 라인 하나에 인구 140~150만이 쓰는 전기가 필요한데 공업용수와 전력이 그 정도 공급이 됩니까? 라고 물어보면 입을 닫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이게 어떤 산업인지 이걸 하고 있는 나라 아니면 잘 모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게 엄청난 양의 전후방 이런 관련 효과, 전후방 투자가 필요하고 1, 2, 3차 협력업체들의 동반 투자가 뒤따르면서 이 반도체 공장을 하나 세우게 되면 어마어마한 일자리들이 창출되게 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우리가 평소에 그걸 잘 못 느낄 수 있어요.<br /><br />이게 반도체 공장이 만들어지면서 거기에 따른 이런 생태계가 조성이 되고 전후방 이런 동반 투자 효과가 생겨서 우리에게 이런 일자리가 생기는 건지 못 느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만 반도체라는 건 그만큼 우리 일반 국민들, 중산층, 서민들의 민생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산업이라는 것을 우리가 잘 알아야 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보니까 지금 선진국들은 이런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서 아주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도 과거에는 자기들이 파운드리 가지고 있다가 설계 중심으로 하고 일본, 한국 이런 데다가 파운드리 만들고 자기들이 물건을 사 가는 식이었는데 지금은 자기들도 이걸 구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건 엄청난 또 고용 유발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 혁명의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서는 천천히 순리대로 나가면 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모든 인적, 물적, 전략 자산을 총 투입해서 치열한 속도전을 펴야 된다는 얘기를 저는 오늘 하고 싶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저희가 경기 남부를 관통하는 세계 최대의 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지금 조성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희들이 일단 1차적으로 예상하기에 약 722조 규모의 투자를 지금 예상하고 있는데 이미 시작이 됐고 앞으로 20년에 걸쳐서 최소한 양질의 일자리가 300만 개는 새로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만 158조 원이 투자되고 직간접 일자리 95만 개가 새롭게 만들어질 것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우리 반도체 분야의 일자리는 한 18만 개 정도 되고 있습니다만 클러스터가 완성이 되면 바로 이곳에서만 7만 개의 일자리가 더 생...